가설 설정
가설 설정#
유투브및 여러 블로그에서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몇 가지 가설을 세웠습니다. 여기서 가설이란 이런 경우 주가가 상승한다하는 가정입니다. 아래는 제가 찾은 정보입니다. 독자분들은 더 좋은 가설을 세우실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가설의 깊이가 예측 모델의 성능을 좌우합니다.
변동성이 크고 거래량이 몰린 종목이 주가가 상승한다.
5일 이동 평균선이 오늘 종가보다 위에 위치해 있다.
위 꼬리가 긴 양봉이 자주 발생한다.
거래량이 종종 크게 터지며 매집의 흔적을 보인다.
주가지수보다 더 좋은 수익율을 자주 보여준다.
동종업계의 평균 수익률보다 좋은 수익률을 보여준다.
개인투자자보다는 투신/사모펀드 등이 매수를 많이 한다.
마지막 가설(투자자)의 경우는 증권사 API 등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추출을 해야하므로 별도의 공부가 필요합니다. 모델의 입력변수로 활용하지는 않겠습니다.
아래는 몇 가지 가설에 대한 차트 예시입니다. 우리가 데이터 분석으로 증명하고 싶은 것은 “각 패턴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자주 발생하는가?” 입니다.
5일 이동 평균선이 오늘 종가보다 위에 위치해 있다.
아래 3월 15일 노란색 부분을 매수 시점이라고 가정을 하면 5일 이동 평균선(녹색선)보다 종가가 아래에 위치해 있다가, 향후 이동평균선을 따라가는 모양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거래량이 종종 크게 터지며 매집의 흔적을 보인다.
아래 차트에서 6월 10일 매수시점이라고 하면 급 상승 전에 거래량이 크게 자주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 꼬리가 긴 양봉이 자주 발생한다.
아래 차트에서 2월 21일 매수시점이라고 하면 주가 상승전에 긴 꼬리 양봉이 자주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가지수보다 더 좋은 수익율을 자주 보여준다.
아래 2월 14일을 매수 시점으로 본다면 주가지수가 계속 하락하는 구간에서도 지에스이의 주가는 우상향하고 있었습니다.